FAQ
카페24
카페24에서 사용하지 않는 쇼핑몰이 라플라스에 자동으로 연결되고 있어요
라플라스에서는 활성화로 설정되어 있는 카페24 데이터만을 저장합니다. 카페24에서 [상점관리] > [멀티쇼핑몰설정]에서 설정을 변경하실 쇼핑몰을 선택 후 화면 하단의 활성화여부에서 비활성화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카페24 판매상품 순위 내역의 판매합계 데이터와 라플라스의 상품별 매출 데이터가 달라요.
카페24에서 제공하는 판매합계 데이터는 매출 데이터가 아닙니다. 카페24 설명글을 살펴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카페24 측에서 집계한 판매합계 데이터에는 쿠폰 및 할인은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라플라스에서 매출은 결제일자에 발생한 결제 금액으로 계산하고 있습니다. 결제 금액 = (판매 상품 가격 x 판매 수량) - 쿠폰 할인 - 상품 할인 + 배송비입니다. 카페24 측의 판매합계 데이터는 (판매 상품 가격 x 판매 수량)으로만 계산한 데이터이므로 정확한 매출이 아닙니다.
추가로 카페24에서는 취소주문으로 발생한 데이터를 제외하지 않고 있습니다. 상품 A가 7월에 230개 팔렸고 그 중 취소 주문이 10 건 발생하여 최종 판매 수량이 220건이어도 카페24 판매상품 순위 내역 페이지에서는 230 건을 판매수량으로 집계합니다.
스마트스토어
라플라스는 어떤 기준으로 스마트스토어의 매출 데이터를 가져오고 있나요?
라플라스에서의 결제금액 데이터는 스마트스토어 > 통계 > 판매분석 > 판매성과 메뉴에 위치한 테이블의 결제금액 데이터와 정의가 다릅니다.
라플라스에서의 결제금액 데이터는 쇼핑 윈도 + 스마트스토어 채널 데이터의 합계로 계산되고 있습니다. 또한, 결제일자 기준으로 결제금액 데이터를 집계합니다. (주문일자로 집계하지 않습니다)
현재 스마트스토어 어드민 페이지에서의 결제금액 데이터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스마트스토어 어드민 페이지 > 결제금액 (i) 에서 (i)를 클릭하시면 확인 가능합니다.)
“상품할인 금액, 배송비 등을 제외하고 실제로 결제된 금액입니다. ”
즉 스마트스토어 어드민에서 결제금액을 계산하는 방식은
= 상품 판매가 x 수량 - 할인 - 쿠폰 이며 배송비는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 어드민 페이지의 ‘결제수’ 데이터와 라플라스의 ‘결제건수’ 데이터가 다릅니다.
스마트스토어에서는 ‘결제수’를 상품주문번호의 개수로 계산을 하고 있습니다.
라플라스에서는 ‘결제건수’를 주문번호의 개수로 계산을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에 메타(페이스북) 픽셀을 심을 수 없습니다. 해결 방법이 없을까요?
스마트스토어에 픽셀을 심을 수 있는 구조는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지 않습니다. (2024.03 기준) 자사몰에 픽셀을 심게 되면 아래 2가지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메타 어드민에서의 구매 전환 추적
자사몰 ↔ 픽셀로 인해 메타 내부 고객 데이터 업데이트 및 메타 광고 집행 시 AI 기반 광고 노출 알고리즘 이용 가능
현재 정책상 스마트스토어에서는 픽셀을 심을 수 없기 때문에 위 2가지 혜택은 기대할 수 없습니다.
중간 페이지를 삽입하여 스마트스토어 → 중간 페이지 (픽셀 심은 일종의 자사몰 페이지) 의 구조로 우회하는 방식이 있지만 완전하지 않으며 구매 전환 값이 누락됩니다.
현재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스마트스토어의 경우 광고를 네이버 검색광고 및 네이버 GFA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쿠팡윙
라플라스는 어떤 기준으로 쿠팡의 매출 데이터를 가져오고 있나요?
라플라스는 현재 쿠팡 Wing 어드민 페이지 기준 ‘판매자배송’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가져오고 있습니다. 로켓그로스 및 로켓배송 데이터는 곧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라플라스 대시보드와 쿠팡 Wing의 매출을 비교할 수 있나요?
기본적으로 라플라스에서 쿠팡 Wing - 판매자 배송 매출(=결제금액)을 산정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결제일 기준으로 집계합니다.
환불/취소 주문은 수집되지 않습니다. (환불/취소 발생 시 쿠팡 Wing API에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음)
환불 / 취소가 발생할 경우 쿠팡이 제공하는 주문 데이터에서 제외가되므로 라플라스 ‘결제금액’ 컬럼엔 기본적으로 환불 / 취소 금액은 차감된 형태로 계산됩니다. (결제금액 = 결제금액(환불/취소 제외) 가 됩니다.
매출(=결제금액) = (상품 판매가 + 옵션가) x 수량 - 판매자 부담 할인 - 판매자 부담 쿠폰 + 배송비로 계산됩니다
쿠팡 Wing의 [정산 현황 페이지] 및 [주문 상세 조회 페이지]를 활용하여 데이터 정합성을 확인 /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라플라스 측에 소싱한 주문 원본 데이터를 요청합니다 (라플라스 애널리틱스 결제 고객 대상으로만 제공 가능합니다)
정산 현황 페이지 진입
드롭다운 박스에서 결제일로 설정 및 기간을 설정
쿠팡 Wing 어드민 > 정산 현황 페이지에서 의미하는 ‘결제일’ → 은 실제로는 주문일입니다. (23.06 기준 쿠팡 어드민의 버그) 라플라스가 제공한 쿠팡 Wing 원본 데이터에서 주문 일자를 확인하고 해당 값을 입력합니다.
쿠팡 Wing 어드민에서 엑셀을 다운로드합니다.
엑셀에서 주문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주문번호를 주문/배송 > 주문조회 > 주문상세조회 페이지에서 검색할 경우 결제일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쿠팡 Wing 어드민 > [주문상세조회] 화면에서 ‘주문일시’로 나오는 데이터는 실제 결제일을 의미합니다.
다운로드한 엑셀 데이터와 라플라스가 제공한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쿠팡.판매액(A) = (라플라스.상품 판매가 + 라플라스.옵션가) x 라플라스.수량 (환불 / 취소 제외)
쿠팡.판매자 할인쿠폰 = 라플라스.판매자 부담 할인 + 라플라스.판매자 부담 쿠폰
쿠팡.기본 배송비 + 쿠팡.추가 배송비 = 라플라스.배송비
쿠팡의 정산 데이터 시트에서 나오는 매출 금액은 쿠팡 정산을 위한 매출 금액일 뿐 실제 판매자 입장에서의 매출 금액이 아닙니다.
아임웹
아임웹 매출과 라플라스 매출이 다릅니다
라플라스는 발생회계 기준의 가장 정확한 매출 산정 로직으로 매출 데이터를 계산하고 있습니다. 아임웹의 매출 산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집계 시점: 주문일 기준(아임웹), 결제일 기준(라플라스) 차감 기준: 환불금액 차감(아임웹), 결제 전 취소만 차감(라플라스) 환불 적용: 취소, 반품/환불시 주문일 기준으로 처리(아임웹), 적용x(라플라스) 할인 금액: 적립금 등은 매출금액에서 제외. 실결제금액만 반영(아임웹), 매출 = 상품 판매가 x 수량 - 상품 할인 - 쿠폰 할인 = 결제금액 + 배송비 (적립금을 매출금액에서 제외하지 않음. 실결제금액 X. 결제금액 O)(라플라스) 부분 취소: 업데이트 예정(아임웹), 결제전 부분 취소만 차감(라플라스)
주문일과 결제일은 다를 수 있습니다. 주문이 발생한 후 실제로 입금이 완료되거나 카드 결제가 완료되어야 결제 일자가 생성됩니다
고도몰
인증 버튼을 눌러도 사용자키 발급 메일이 오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판매처에 등록된 대표 이메일로 인증 요청 메일이 발송됩니다.
라플라스에 회원가입 하신 ID가 아닌 대표 이메일을 확인해주세요.
사용자키 발급 메일을 통해 이전에 API Key 인증을 진행하신적 있으실 경우 API Key 가 추가로 발급되지 않습니다. 판매처에 등록된 대표 이메일에서 아래 이메일 제목으로 검색을 시도해주세요.
“[NHN커머스] Open API 사용자키가 발급되었습니다.”
판매처에 등록된 대표 이메일이 무엇인가요?
고도몰 5 판매자 어드민에 접속합니다.
기본 정보 설정 메뉴에 접속합니다.
대표 이메일란을 확인합니다.
해당 칸에 기재된 이메일로 인증 요청 메일이 발송됩니다.
네이버 검색 광고
네이버 검색광고 연결이 오랜 시간동안 완료되지 않고 멈춰있습니다.
네이버 검색광고 대용량 보고서가 90개를 초과하면 검색광고 데이터 연동이 어렵습니다. 생성되어 있는 대용량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삭제해주셔야 합니다.
네이버 GFA
2단계 인증 등의 보안 설정과 무관하게 네이버 GFA를 연동하고 싶어요.
(“멤버로 초대할 통합 회원 ID(네이버ID)를 정확히 입력해 주세요.” 라는 문구가 출력되는 화면)
권한 레벨 = ‘운영 조회’로 세팅
이후에 라플라스쪽에서 설정 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완료되는 경우 보안 알림을 받지 않으시게 됩니다.
사방넷
라플라스는 어떤 기준으로 사방넷의 매출 데이터를 가져오고 있나요?
사방넷 통계분석 → 매출현황 페이지에서 발생일 기준으로 설정하시면 라플라스 통계 데이터와 비교해보실 수 있습니다. (사방넷 통계분석의 주문 금액 = 라플라스 기본 통계 분석의 결제금액)
사방넷 주문관리 → 주문서확인처리에서 수집일 기준으로 설정하신 데이터와 라플라스가 수집한 원본 데이터가 무엇인지 상세히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쇼핑몰 관리 → 지원 → 거래여부가 거래중지일 경우 정합성이 안맞을 수 있습니다.
라플라스는 어떤 기준으로 사방넷의 브랜드를 매핑하나요?
상품 브랜드명으로 브랜드를 매핑하였습니다.
상품 관리 -> 사방넷상품조회수정 페이지로 들어가시면 상품 브랜드명을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수정 이후 익일 배치 작업이 끝나면 적용이 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광고 커넥터 연결 끊김
광고 계정 연결이 계정 인증 토큰 만료로 연결이 끊겼습니다.
계정 연결이 끊기면 데이터 최신화가 진행되지 않게 됩니다.
왜 이런 이슈가 발생하나요? → 인증 토큰이 만료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비밀번호 변경했을 때
보안상의 이유로 광고 채널에서 계정이 일시적으로 차단되거나 정지되었을 때
사용자가 계정을 삭제했거나 광고 계정 내부적인 이슈로 액세스 토큰이 유효하지 않을 때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비밀번호 변경이 되어 인증 토큰이 만료가 된 경우
재연결
버튼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2번, 3번의 케이스의 경우에는 페이스북에 직접 로그인해서 페이스북내 표시되는 알림 메세지를 확인해서 해결한 뒤
재연결
을 시도해주세요.재연결
을 했음에도 정상적인 연결이 불가한 상황이라면 라플라스 팀에 알려주세요!
메타
페이스북의 광고 보고서와 라플라스 대시보드 사이에 작은 오차가 발생해요
페이스북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보정 작업이 원인 입니다.
매일 새벽 페이스북으로부터 전일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수집 및 업데이트하는 자동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의 데이터를 수집해 보면, 새벽에 조회했을 때의 직전일 데이터와 점심에 조회했을 때의 직전일 데이터가 다릅니다. 페이스북 서버에서도 데이터 보정이 이루어 지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라플라스의 대시보드에 나타나는 데이터는 새벽에 조회했을 때의 데이터이므로, 유저께서 조회하신 시점의 데이터와 약간의 오차가 존재합니다.
해당 오차는 익일 데이터 업데이트시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추후 데이터 업데이트 주기를 더 줄여서 유저분들께서 최신의 데이터를 확인하실 수 있도록 구성할 예정입니다.
GA4
방문자수 지표는 어떤 것으로 측정해야 하나요?
A4에서 ‘사용자’ 혹은 ‘Users’로 표현되는 지표는 ‘활성 사용자수’ 혹은 ‘Active users’ 지표입니다.
GA4에서 정의하는 활성 사용자란 지정된 기간 동안 내 사이트 또는 앱에 참여한 순 사용자 수입니다.
유저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GA4에 존재합니다.
활성 사용자(사용자)
총 사용자
총 사용자 수: 지정된 기간 동안 이벤트를 트리거한 순 사용자 수입니다.
따라서 이벤트가 발생한 총 사용자수를 단순히 방문자수로 측정하고자 할 경우엔 총 사용자수를 / 참여(engagement)를 고려하여 방문자수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엔 활성 사용자(사용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관련된 다른 측정값으로는 ‘세션수’, ‘참여 세션수’ 가 있습니다.
Last updated